상한표증때 속에 수음이 정체되어 오싹오싹 춥고 열이 나며 기침을 하고 숨이 차며 거품이 섞인 가래가 나오고 구역질이 나며 윗배가 그득한데 쓴다. 감기, 기관지염, 알러지성비염, 늑막염, 신염 초기에 사용
성분 : 마황 건강 감초 계지 반하 세신 오미자 작약
효능 : 기관지염, 기관지천식, 콧물, 묽은 가래를 수반하는 기침, 비염
용법 : 1일 3회, 1회 1포 식간 복용

기관지염증 개선제
알러지성 콧물, 재체기, 천식
졸리지 않음

마황 ephedrine : 호산구 adrenergic receptors agonist
> 호산구의 아드레날린 수용체가 자극되면 과립소포의 세포막이동이 방해됨
> 호산구 분비 억제
> 콧물, 비염 반응 억제
건강 shogaol : Intra-neutrophil (호중구內) hydrogen peroxide scavenger
> H2O2를 환원시켜 호중구가 염소화합물을 생성하지 못하게 됨
> 호중구 공격을 차단 및 염증억제
반하 Oleic acid : catenin 신호 activator
> catenin의 활성화로 세포이동이 빨라짐
> 상피세포 & 점막세포가 탈락된 부위로 이동 및 치환
> 간질상피염증 부위 회복 촉진
세신 eugenol : Met-hemoglobin reducer
> 환원형 혈색소로 전환시킴
> 폐간질 산화적혈구 환원시킴
작약 paeoniflorin : 활성산소 제거
> 비점막세포가 점액분비를 할때 G단백을 활성화 필요
> G단백을 활성화시키는데 활성산소 필요
> 활성산소를 제거하면 G단백이 불활성화
> 점액분비 억제
> 기관지염으로 인한 환기부족으로 발생한 저산소증 개선
계지 cinnamic acid : Lactate oxidizer (젖산 산화제)
> 원인균은 호기성이든 혐기성이든 lactate를 영양분으로 세포대사를 함
> 혈중 lactate를 감소시키면 원인균의 대사가 억제되어 병원성이 감소
> 환기부족에 의해 축적된 젖산이 세포대사장애를 야기
> cinnamic acid이 젖산과 착염을 이루어 간에서 처리되어 축적된 젖산 개선
감초 glycyrrhizin acid : 11-beta-hydroxysteroid dehydrogenase1 inhibitor
> 호산구 adrenergic receptors 자극지속됨
> 호산구 분비 억제
> 콧물, 비염, 기관지염 억제
오미자 schizandrin :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
> 늑막 근수축을 강화
> 호흡력 증가
'의약품 > 한방생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옥고. 혈을 늘려주는 보약 (0) | 2023.07.11 |
---|---|
삼소음. 위장이 약한 중장년층의 기침 감기약 (0) | 2023.07.10 |
은교산 (0) | 2023.07.07 |
갈근탕 (0) | 2023.07.07 |
갈근탕가천궁신이탕 (갈천신) (0) | 2023.07.06 |